카테고리 없음

MBTI JP차이 성격유형검사 MBTI 심화 분석

park-emotion 2022. 12. 18. 18:48
반응형

안녕하세요 enotion입니다. 오늘은 mbtiJP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SP와 SJ의 차이

mbti중 우선 SP와 SJ가 있는데SP가 진정한 감각형입니다 SJ 는 감각형은 감각형이지만,  감각이 메인은 아닙니다 메인은사고나 감정입니다. SP 는 감각이 가장 강한 기능이기 때문에 쾌락주의적인 성향을 갖게 됩니다. 외향형 에서 이런 성향이 두드러지고 내향형도 비슷한 성향이 있는데 외향형 과 다른점은 귀차니즘성향이 강하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은 이것도 감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편안한 걸 좋아한다는 말이자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겁니다

반면에 SJ는 감각보다 더 강한 기능을 갖고 있는데 바로 사고 아니면 감정입니다 이 두 기능을 판단기능이라고 합니다. J인 사람들은 판단이 중요합니다. 감각은 그져 그 판단을 돕는 보조 수단에 불과합니다. 다시 말해 옳고 그름의 판단이란 말입니다. 판단에 따라 오히려 감각을 통제하거나 제어하는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SP 와는 전혀 다른 스타일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정리하자면 SP는감각적 쾌감또는 감각적 경험이 행동에 가장 큰 동기로 작용하는 사람들인데 반해 SJ는 감각이 주로 도구로 사용되고 판단의 도구로 사용되죠 그래서 때로는 감각을 제어하려는 성향으로 나타난다는 겁니다 SP는 자유분방하고 놀기 좋아하고 SJ는 정반대로 의무와 책임을 중요시하고 근면성실한 유형의 인간으로 자라게 됩니다.  이런 차이가 아주 노골적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외향형입니다.

 

2. ESTP ESFP vs ESTJ ESFJ

 

ESTP ESFP 사람들은 한마디로 파티피플 같은 사람.mbti 의 열여섯 가지 유형 중에 노는 걸 가장 좋아하는 사람들입니다그러면서도 아주 현실적인 면도 있죠 머리 회전이 빠르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잘 해서 비즈니스에도 소질이 있어요

행동력이 뛰어납니다. 생각하자마자 혹은 생각하기도 전에 움직이는 스타일이에요. 일단 저지르는 사람들입니다.

이 사람들과 정반대쪽에 있는사람들은 ESTJ ESFJ입니다. 근데 이 사람들도 파티를 좋아합니다 기본적으로 사회성이 좋습니다. 그런데 그 파티라는게 ESTP ESFP가 좋아하는 것과는 좀 다른유형입니다. 격식과 에티켓 이런 게 아주 중요한 파티 입니다.

사람들과 어울리는 건 비슷하지만 분위기가 완전히 다릅니다. 같은 교회 다니는 사람들이 만나는 것과 비슷한 느낌도 있고요 봉사활동모임 느낌입니다

3.  ISFP ISTP vs ISTJ ISFJ

 ISFP ISTP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귀차니스트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겉보기엔 만큼 노는 걸 좋아하는 사람처럼 보이진 않습니다 .그러면 일하는걸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더 싫어할 수도 있습니다 .개미가 아니라 배짱이들 입니다.. 내향형 이라 겉으로 그런 성향이 드러나진 않을 뿐입니다. 오히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감각형들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어요.오감이 가장 발달한 사람들 이라는겁니다 그래서 장인 기질과 연결됩니다 대체로 게으른 편이지만 자기가 좋아하거나 자기한테 잘 만든 건 아주 열심히 합니다. 그것 자체에 빠져서 하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한 분야의 장인마스터가 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이들 만큼은 아니지만 이와 북한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 ISTJ ISFJ 들입니다.

먼저 외향형 얘기할 때 ESTP ESFP만 그런 게 아니라 ESTJ ESFJ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좋아한다고 했는데, 물론 어울리는 사람도 다르고 분위기도 다르지만,  그거랑 비슷한 이야기입니다.  ISTP ISFP 사람들도 장인 기질비슷한 게 있습니다 특정 분야에 대해 전문가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배짱이가 아니라 근면성실한 사람들이라는 겁니다.

MBTI 열여섯 가지 유형 중에 가장 믿음직한 사람들이 바로 이 ISTJ ISFJ 입니다.사람들한테 뭔가를 맡겼을 때 가장 정확하고 확실한 아웃풋이 나옵니다. 사실 이 사람들은 자기가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거 아니면 시도를 하지않습니다. 이게 일 만 그런 게 아니라 인간관계도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자 이렇게 S 유형을 S P SJ로 구분해서 살펴봤는데요 실제로 보면 완전히 다른 스타일이에요 거의 극과 극에 가까울 정도로 다른 느낌이 드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N유형들은 좀 다른경향을 띕니다.  NP NJ가 개미와 베짱이만큼 다른 느낌이 들지는 않습니다.

 

4. NP와 NJ의 차이 

 

N들은 S유형만큼 뚜렷하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S 만큼 눈에 뚜렷하게 보이고 구체적으로 느껴지는 게 아니라서 그런 게 아닐까 합니다. S는 구체적이죠 현실적이고  N는 추상적이고 이상적입니다. S 가보기엔 뜬구름 잡는 느낌이 있다는 겁니다 S P와 SJ 확실한 차이가 있는 것도 바로 눈에 보이는 감각을 다루는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SP 감각이 이끄는 대로 가다보니까 쾌락주의자성향이 나오는 거고요 SJ 는 감각이 있지만 오히려 그걸 통제하고 나니까 정반대로 의무와 책임을 강조하게 된다는 겁니다 근데 NJNP는 감각이 아니라 직관을 다루는 방식이 다릅니다.

좀 쉽게 설명하자면 일종의 호기심같은 걸 말하는 거에요 S N 차이는 나무를 정확하게 정밀하게 보느냐 그보다 는 숲에 전체 모양이 관심을 갖는 지 입니다. 그래서 S 주로 자기 주변에 현실에 집중하는 데 반해 N에는 그런데는 별로 관심이 없고 빅피쳐 다시 말해서 현실이 전체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가 궁금하다는 겁니다. 이 호기심자체가 모든 행동의 동기가 되는 사람들이 NP 진정한 집권 형들입니다 그리고 분명히 호기심이 있지만 큰 그림을 보려고 하는 성향이 있지만 결국에는 그게 목적이 아니라 그걸 바탕으로 한 판단 선택 결정에 더 큰 관심있는 사람들이 바로 라는 NJ 거에요NPNJ 의 차이가 바로 이 거라는 거죠

그러나 이 차이는 SPSJ 처럼 뚜렷하게 보이지가 않습니다. 적어도 정반대의 느낌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래서 둘 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인데 한쪽은  모든 행동의 동기가 되고 다른 한쪽은 그걸 바탕으로 무언가를 판단하거나 결정하려는 그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N는 이 방식보다는 NTNF 으로 구분한 게 겁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큰 그림을 그리려고 해도 한계가 있기마련입니다. 괜히 그린 큰 그림 이라는 게 한계가 있습니다.

말하자면 나무가 아니라 숲. 그 숲도 다 다릅니다. 바로 이걸로 구분하는게 NTNF 보통 TF 의 차이를 말할 때 이과 문과에 차이라고 하는데  매우 그럴 듯한 얘깁니다 INTP 느낌은 INFJ 비슷해요 물론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체로 그렇습니다. 

5. ENTP INTP vs ENTJ INTJ

ENTP INTP ENTJ INTJ  사람들을 보면 대체로 비슷한 성향을 갖는 사람들입니다. 다 NT 들이.그런데  entp intp 은 호기심자체가 이들의 행동을 드라이브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로 작용합니다. 큰 그림 자체를 쫓아가는 사람들 이란 얘깁니다 그걸 위해서 사고를 사용하합니다. 이 사람들은 궁금한 게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뒤지거나 서점을 뒤지거나 뭔가를 뒤지면서 뭐 새로운 거 없나 생각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ENTP 사람을 직접 뒤지기도 하는데 그 사람 자체가 궁금하거나 혹은 그 사람이 내가 궁금한 걸 알고 있거나. 물론 나쁜 의도는 아닙니다

intp 그런 무모한 짓은 거의 안 합니다 은둔형이에요 어쨌든 둘 다 이 궁금한 걸 찾아내거나 추적하는 도구로서 사고를 사용하는 겁니다 반면에 ENTJ INTJ 이 사람들은 호기심도 호기심이고 큰 그림도 큰 그림이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판단입니다. 이 사람들은 융 심리유형으로 분류하면 같은 사고 형들이라는 거죠.

 

6. ENFJ INFP vs ENFJ INFJ

 

 ENFP INFP 이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언제나 큰 그림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왜향적이면서도 감정형 이어서 매우 포용적입니다. "그럴 수 있지" 이 사람들이 잘하는 말입니다.물론 자기 자신에게도 적용이 되다 보니까 작은 실수 같은 게 잦은 편이기도 하지만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반면에 INFP는 내향적입니다. 겉모습만 보면 빅픽쳐와는 전혀 무관해 보이죠 근데 이사람의 내면에는 깊고 넓고 풍부한 세계가 있어요. 사실 모든 사람의 내면에는 비슷한 게 있다고 해요. 깊이 들어가면. 그 세계와 가장 친숙한 사람이 INFP입니다.

마지막으로 ENFJ INFJ 이 사람들 역시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ENFJ 포용력이 있습니다. INFJ는 깊은 내면을 갖고 있는 그런 사람입니다.그런데  결국 이들은 감정형입니다. ESFJ ISFJ 와 같은 유형이란 얘기입니다. 나쁜 게 더 중요한 큰 그림만 그려서 뭐냐는 겁니다. 뭐가 좋고 뭐가 나쁜지 그리고 감정형이라서 타인과의 공감이 아주 중요합니다 게다가 N이기 때문에 타인이라는게 공동체로 확장되는 거예요 우리 모두에게 뭐가 좋고 뭐가 나쁜지를 보게 됩니다. 이게 윤리적 판단하고도 연결이 되는거죠 그래서 는 사회운동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