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임플란트정보

임플란트 가격 건강보험 적용

park-emotion 2023. 3. 8. 22:30
반응형

나이가 들면서 치아건강이 급격하게 나빠집니다. 영구치의 경우 인간이 살면서 죽을때까지 써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소모가 되기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치아관리를 해줘야하는데 관리가 소홀 할경우 치아가 썩게 되고 빠지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때는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좋습니다

 

그런데 임플란트의 경우 일반치아와 비슷하고 심미성도 좋아 선호하는 수술방법입니다. 하지만 개당 비용이 비싸기(국산기준 개당 최소 10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까지 ) 때문에 임플란트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임플란트가 건강보험이 되면 가격적인 부담이 덜하다는 생각을 가진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임플란트와 건강보험의 대해서 알려드리겟습니다.

 

대전 임플란트 가격비교 보러가기

 

 



1.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기준

 

 

건강보험 적용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1 나이기준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가족 등)

 

1.2  일반/ 차상위계층/ 만성질환자

 

만 65세 이상 일반 : 임플란트 비용 70% 지원 본인 부담 30%
만 65세 이상 만성질환자:임플란트 비용 80% 지원 본인 부담 20%
만 65세 이상 차상위계층, 희귀난치성 질환자 : 임플란트 비용 90% 지원 본인 부담 10%


1.3 임플란트 건강보험 한도 

       

만 65세 이상부터 평생 동안 최대 2개 지원
(* 2022년 3월 이후 기준이 개정되어서 완전 무치악일 경우도 2개까지 지원가능합니다.)


1.4 기타 지원 사항

 

 뼈이식 수술 약물치료 부가시술 등의 비용은 본인이 100% 부담해야합니다.


1.5 임플란트 지원 재료

 

보철재료 :PFM(도자기 +메탈) 
지대주 : 일반형, 하이브리드 

크라운은 PFM 소재와 지대주는 일반형 그리고 하이브리드형만 지원이가능하며 다른 소재로 할경우 지원에서 제외되게 됩니다.

 

2.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이란 경제적 능력이 기초생활 수급자 수준보다 약간 높은 바로 위의  계층을 말합니다. 보통 잠재적 빈곤계층이라고도합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르면 중위소득 50%이하의 계층을 뜻합니다. 

 


2.1 월 중위소득 표

 

가구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기준 중위소득 2,077,982원 3,456,155원 4,434,816원 5,400,964원 6,330,688원 7,227,981원 8,107,515원
중위소득 50% 
(차상위계층)
1,038,946원 1,728,077원 2,217,408원 2,700,482원 3,165,344원 3,613,991원 4,053,758원

 

 

3. 만성질환자 


만성질환자는 환자가 살아가는 평생 동안 정신적 신체적으로 고통을  받는질환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천식 당뇨 류머티즘 관절염 심뇌혈관질환 암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