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motion입니다. 이제 겨울이 다 된 것 같습니다. 손발이 시렵고 사람들이 코트를 입고 다니네요. 올 해 가을은 정말 짧앗던 것 같습니다. 이제 낙엽도 많이 떨어저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요즘은 1인가구가 점점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점점 자취하는사람도 많아지고 혼자 나가서 사는 사람도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주거 형태의 변화에 따라 정책도 많이 바뀌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1인가구에 대한 지원 정책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1인가구 지원정책
주로 원룸이나 오피스텔 공유주택 소형아파트 등 1인 가구가 증가 추세이다. 정부에서 1인 주택을 위한 정책이 있다. 행보주택 청년 협동조합 공공주택 두레주택 대학생전세임대 등 여러 가지지원을 추진한다.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서비스 국민주택기금과 만 60세 이상 노인의 경우 노인 복지 주택 등 폭 넓은 주거 정책 지원을 펼치고 있다.
2. 1인가구 주택 지원
1인가구 주택 지원에는 앞서말한 것들이 있다. 아무래도 국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함에 따라 1인 가구의 부담이 늘어가기 때문에 가장 급한 주거를 우선으로 지원하는 의도로 보인다.
1) 사회적 주택
- SH 서울 주택도시 공사와 LH 한국 토지 교통공사가 임대하거나 매입한 주택을 활용하여 청년층에게 제공하는 임대 주택이다. 여기서 청년층은 대학생 취준생 만 19세 이상 만 39세이하의 사회초년생 그리고 청년 예술인을 가르킨다. 지역제한이 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안산시 그리고 인청광역시에 위치해 있는 청년층이 이에 해당한다. 국가기관이 운영 관리를 하기 때문에 민간 사업자보다 저렴한 가격에 질 높은 수준의 주거를 누릴 수 있다. 사회적 주택은 수시로 모집하기 때문에 SH 서울 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를 수시로 방문하여 입주자 모집을 확인해야 한다. (https://www.i-sh.co.kr/)
2) 두레주택
-두레주택이란 기존의 지원되는 주택과는 조금 상이한 주택이다. 주방과 거실등 일부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주택형태이다. 영화나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셰어 하우스 식의 주거이고 입주자 간의 규칙을 정하여 운영된다. 이 또한 SH서울 주택 도시공사가 공급하는 임대 주택의 형태이다. 지원되는 지역이 서울에 한정되어 있어 제한적이다. 서울특별시 방학동 충신동 휘경동에 있다. 거주 조건은 서울특별시 거주자에 만 40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에 한에 소득 및 자산 기준을 확인하고 부합된 기준에 따라 입주할 수 있다. 두레 주택은 2년마다 갱신할 수 있고 최대 10년 동안 거주 할 수 있다. 2020 두레주택 모집 공고일은 2020.09.25.일 이엿으며 신청접수는 2020.10.12.~14일 접수방법은 홈페이지에서 접수할 수 있다.(https://www.i-sh.co.kr)
3) 행복주택
국토교통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제공하는 행복주택은,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그리고 집이 없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다. 행복주택은 학교나 직장이 가까운곳 또는 교통이 원활하고 버스나 지하철 대중교통이 활발한 유동성이 좋은 역세권에 짓는 공동 임대 주택이다. 시중에 나온 매물의 시세 60~80% 수준의 저렴한 금액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최대 10년 고령자 및 산업단지 근로자는 최대 20년 까지 거주할 수 있다.
4) LH 청년 전세임대주택
-LH 청년 전세임대 주택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제공한다. 만 19세부터 만 39세 이하인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전세자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 신청하기 위한 조건은 무주택 자 그리고 소득과 재산이 기준에 적합해야한다. 수도권의 경우 최대 1.2억원 광역시는 9천5백만원 기타 지역은 8천 5백만원 까지 지원 받을 수 있다.
5) 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 주택은 SH서울주택공사에서 제공한다. 1~2인 가구를 대상으로 도시형 생활 주택을 임대 형태로 공급한다. 도시형 생활 주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준은 소득과 재산의 기준에 부합해야 하는데 그 기준은 아래와 같다.
소득기준: 월 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독의 70% 이하인 자
재산기준: 해당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가액 합산기준이 12,600만원 이하인 자
도시형 생활 주택의 경우 서울주택 공사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
방화동 문정동 역삼동 강일동 천왕동 사당동에 위치하고 있다.
6) 여성안심주택
여성안심 주택또한 SH서울 주택공사에서 제공한다. 위의 도시형 생활 주택과 마찬가지로 1~2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그 중 1인 여성 가구를 위한 여성 전용 임대주택이라 할 수 있다. 큰 틀은 도시형 생활 주택과 같다. 또한 안심 주택의 이름에 맞게 무인택배 시스템,수도 전기 가스 검침이 주택 외부에서 처리된다.
신청자격은 다음과 같다. (2018년 10월 기준)
공고일을 기준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주민등록상 주소) 1인가구 무주택 세대주 여야 하고 여성이여야 한다. 또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여야 한다. 총 자산가액이 24,400만원 이하 자동차 현재가치 기준 2545만원 이하인 자가 이에 해당된다.
7) 청년협동 조합형 공공주택
청년 협동 조합형 공공주택은 SH 서울 주택 도시공사에서 제공한다. 서울에 거주중인 만 19세이상 만35세 이하인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 월 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평균의 70% 이하인자 그리고 부동산 가액 합산이 5000만원 이하 그리고 자동차 가액이 2200만원 이하일 경우 해당하는 자는 신청이 가능하다. (2017년 기준) 청년협동 조합형 공동주택은 주거 공동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 공간 제공 이외에도 별도의 커뮤니티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비슷한 나이 또래와 생활하며 공감대를 형상할 수 있다.